앞으로 이모지(emoji)에서도 보청기(hearing aid)를 볼 수 있다?! 장애에 대해 한걸음 더!





금도 들고 계시는 스마트폰! 요즘엔 이 스마트폰으로 전화보다는 메신저(messenger)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통해서 지인들과 소통하는 분들 많으시죠. 메신저나 SNS 상에서 대화를 나눌 때 빠지면 허전한 것이 바로 이모지(emoji)! 스마트폰에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이모지(emoji)는 다양한 사람 및 동물, 표정, 활동 그리고 대중들에게 의미있는 사물 등 그 종류도 정말 많은데요.

이러한 이모지(emoji)는 전세계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강력한 커뮤니케이션 도구이자 자기를 표현하는 한 형태로도 사용되며 다른 누군가를 위해 응원과 위로 등의 감정을 전달하기도 하지요. 하지만 그많은 이모지(emoji) 중에 장애가 있는 분들의 라이프 스타일을 표현할 만한 이모지(emoji)는 극소수에 불과합니다. 따라서 이번에 애플(Apple inc.)에서 장애가 있는 사람도 그들 개인의 삶을 쉽게 표현할 수 있도록 새로운 이모지(Accessibility Emoji) 추가를 제안했습니다.


사용자의 라이프 스타일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이모지(emoji)의 추가가 장애를 포함한 다양한 문화 형성의 촉진에 도움이 되리라 믿는다 ... 새로운 이모지(accessibility emoji)를 통해 장애의 모든 측면을 나타낼 수는 없지만 이모지(emoji) 세계 안에서 더 많은 다양성을 표현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다. <Apple inc.>

시각장애 관련(Blind & Low Vision) 이모지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2억 8천 5백만명(285 million)이 시각장애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이번에 애플이 제안한 시각장애 관련 이모지는 맹인 사회를 표현할 수 있는 캐릭터인데요. 바로 맹인안내견(guide dog with harness)과 흰 지팡이(white cane)입니다.<Image : Apple>


청각장애 관련(Deaf & Hard of Hearing) 이모지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3억 6천만명(360 million)이 청각장애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기존에 있던 수화 이모지에 이어서 청력손실을 나타내는 두개의 이모지를 추가적으로 제안했는데요. 귀가 안들림을 표현(deaf sign)하는 캐릭터와 보청기를 착용하고 있는 귀 모양(ear with hearing aid)입니다. Deaf sign 의 경우 모든 국가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수화는 아니지만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수화로 선택했다고 하네요. <Image : Apple>




지체장애 관련(Physical & Motor skills) 이모지
기존에 있던 다양한 행동을 표현하는 이모지에 이어서 장애인들의 일상을 돕는 전동휠체어(mechanized wheelchiar), 휠체어(manual wheelchair), 의수(prosthetic arm), 의족(prosthetic leg)의 추가를 제안했습니다. <Image : Apple>








보이지 않는 장애 관련(Hidden Disability) 이모지
자폐증(autism), 발작(seizures),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등의 숨겨진 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위해 많은 도움이 되어주는 보조견(service dog with vest and leash)도 맹인안내견과 함께 이번 이모지 추가 제안에 포함되어 있네요. <Image : Apple>




외의 경우 장애에 대한 편견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이나 캠페인 등이 많이 시행되고 있는데요~ 이번에 애플이 제안한 새로운 이모지(Accessibility Emoji)들 역시 장애인이든 비장애인이든 편견을 갖지않고 서로 이해하고 소통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이번에 제안한 이모지의 경우는 UTC(Unicode Technical Committee) 미팅을 거친 후 최종 승인이 된다면 2019년 상반기에 Emoji 12.0 버전으로 만날 수 있을 예정이라고 하네요~ 대구보청기센터 대명의 청능사(audiologist)인 저의 경우 예전부터 ‘이모지에 보청기나 인공와우가 왜 없는 것인가!’ 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애플과 통했나 봅니다. <明>

Source : Unicode(Proposal For New Accessibility Emoji, original proposal document)




앞으로 이모지(emoji)에서도 보청기(hearing aid)를 볼 수 있다?! 장애에 대해 한걸음 더! 앞으로 이모지(emoji)에서도 보청기(hearing aid)를 볼 수 있다?! 장애에 대해 한걸음 더! Reviewed by audiologist on 5월 12, 2018 Rating: 5

댓글 없음:

Powered by Blogger.